본문 바로가기

알기쉬운 법률지식

개인정보보호법, 사례연구를 통해 본 주요 변화와 시사점


개인정보보호법, 사례연구를 통해 본 주요 변화와 시사점

이번 포스팅은 "개인정보보호법" 관련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핵심사항부터 전문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는 관련사례까지  기술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개인정보보호법" 보다 더 포괄적인 주제인 "개인정보보호법" 관련된 내용을 모두 열람하시려면, 여기에서 모든 정보를 한눈에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법 자료열람

 

<목차>
1. "개인정보보호법" 관련 핵심요약 4가지
 1) 개인정보보호법의 정의와 목적입니다.
 2) 개인정보의 정의와 범위입니다.
 3) 개인정보 처리의 원칙입니다.
 4) 개인정보 침해 시 대응 방법입니다.
2. QnA : 심화사례연구 방법론 5가지
 1) 사례연구1, 디사 사건은 어떤 사례인가요?
 2) 사례연구2, 주사 사건에 대해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3) 사례연구3, 사 사건은 어떤 사례인가요?
 4) 사례연구4, 개정법이 적용되지 않았다면 어떤 결과가 나왔을까요?
 5) 사례연구5, 기업들이 유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1. "개인정보보호법", 핵심기초지식

1) 개인정보보호법의 정의와 목적입니다.

개인정보보호법은 개인의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제정된 법률입니다. 이 법은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고, 정보의 유출 및 악용을 방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개인정보보호법은 개인정보의 수집, 이용, 제공, 보관 등의 모든 과정에서 준수해야 할 기준을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정보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개인의 권익을 보호하려는 목적이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기업과 기관은 이 법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2) 개인정보의 정의와 범위입니다.

개인정보는 살아 있는 개인에 관한 정보로서,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함합니다. 이름,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이메일 주소 등이 대표적인 개인정보입니다. 개인정보보호법은 이러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규제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특히, 민감한 개인정보는 더욱 엄격하게 보호됩니다. 민감한 개인정보에는 건강 정보, 성생활 정보 등이 포함됩니다.

3) 개인정보 처리의 원칙입니다.

개인정보보호법은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 있어서 몇 가지 원칙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첫째, 개인정보는 적법하고 정당하게 수집되어야 합니다. 둘째, 수집된 개인정보는 목적에 맞게 사용되어야 하며, 목적 외의 사용은 금지됩니다. 셋째, 개인정보의 정확성을 유지하고, 필요 시 최신 상태로 유지해야 합니다. 넷째, 개인정보의 보안성을 확보하기 위해 적절한 기술적, 관리적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4) 개인정보 침해 시 대응 방법입니다.

개인정보가 침해되었을 때는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합니다. 우선, 개인정보 유출 사실을 인지한 즉시 관련 기관에 신고해야 합니다. 또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침해된 정보를 신속히 복구하고, 추가적인 유출을 방지하는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피해를 입은 개인은 법률에 따라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법은 이러한 절차와 권리를 명확히 규정하고 있습니다.

 

2. 사례에 관한 전문가 질의응답

1) 사례연구1, 디사 사건은 어떤 사례인가요?

디사 사건은 개정된 개인정보보호법이 처음으로 적용된 사례입니다. 교육 콘텐츠 서비스 업체인 디사는 크리덴셜 스터핑 공격을 받아 약 9만 5,000여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되었습니다. 이 사건으로 디사는 6억 1,300만 원의 과징금과 330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받았습니다. 특히 피해자들은 입시를 준비하던 수험생들로,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2차 피해까지 우려되었습니다. 해커는 탈취한 계정을 이용해 관리용 웹 서비스에 접근하여 개인정보를 열람했습니다.

2) 사례연구2, 주사 사건에 대해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주사 사건은 개정법이 적용된 두 번째 사례로, 레저 산업체 주사는 해킹으로 인해 약 221만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되었습니다. 이 사건에서 주사는 75억 원의 과징금과 540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받았습니다. 주사 사건은 국내 기업에 대한 역대 최대 과징금을 갱신한 사례로 주목받았습니다. 해커는 불상의 방법으로 임직원의 계정을 획득한 후 AD 서버를 장악하고 파일 서버에 접근해 개인정보를 유출했습니다.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 조치 기준 고시를 위반한 것이 주요 원인이었습니다.

3) 사례연구3, 사 사건은 어떤 사례인가요?

사 사건은 개정법이 아닌 구법이 적용된 사례로, 151억 원의 과징금이 부과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국내 기업에 대한 역대 최대 과징금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해커는 랜섬웨어를 이용해 데이터를 유출하고 다크웹에 유출된 정보를 통해 추가적인 스미싱 공격을 시도했습니다.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으로 안전 조치 의무 및 유출 통지 의무를 위반한 사례입니다. 특히 보유 목적이 상실된 개인정보를 파기하지 않고 보관하여 파기 위반에 해당되었습니다.

4) 사례연구4, 개정법이 적용되지 않았다면 어떤 결과가 나왔을까요?

개정법이 적용되지 않았다면 디사와 주사 사건은 비교적 적은 금액의 제재가 부여되었을 것입니다. 개정법 적용 전에는 1천만 원대의 과징금이나 과태료가 부과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개정법이 적용되면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매출을 모두 포함해 과징금이 산정되었습니다. 그 결과 두 사건 모두 상당히 높은 금액의 처분이 내려졌습니다. 개인정보 보호위원회는 유출된 개인정보가 이용되는 일체의 매출액을 과징금 산정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5) 사례연구5, 기업들이 유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개인정보보호법 개정 이후, 과징금 산정 기준 금액인 매출액의 포함 범위가 확대되었습니다. 온라인 사업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매출까지 포함되면서 과징금이 크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정보가 포함된 모든 서비스나 제품에서 유출 사고가 발생할 경우 매출액이 과징금 산정에 반영됩니다. 기업들은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보다 철저한 보안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으로 기업들이 유의해야 할 사항들이 많아졌습니다.

 

"알기쉬운 법률지식" 시리즈는
법조계 전문가들의 인터뷰 자료를 토대로
기초지식과 핵심사례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제작된
 고퀄리티 프리미엄 컨텐츠입니다.

아래에서 "알기쉬운 법률지식" 시리즈의
다른 글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알기쉬운 법률지식